커뮤니티

초록색 병에 든 대중의 술, 소주에 대해 잘 아시나요?

2021-09-24

라이프가이드 라이프


의사가 알려주는 건강 이야기 (성인/노인)
초록색 병에 든 대중의 술, 소주에 대해 잘 아시나요?
'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이 러시아의 두 배, 미국의 네 배에 이른다는 사실, 알고 계시는가요?'

    술 좋아하시나요? 좋은 사람과 좋은 술로 마음을 나누는 시간, 귀한 시간의 촉매제로서 술이라면 너무 좋겠는데 말이죠. 하지만 술, 그중에서 한국인이 가장 즐겨 마시는 소주, 특히 초록 병으로 대표되는 희석식 소주를 말하는 것이라면 좋은 이미지만 떠오르지는 않을 겁니다. 
    소주는 값이 저렴한 덕분에 대한민국의 서민을 대표하는 술로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도 자주 나오는데요. 하지만 술 때문에 고생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사회 문제의 주범 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합니다. 응급실 근무자들은 특히 치를 떠는데요. 매일 밤 알코올에 심하게 찌든 술 취한 사람들이 일으키는 문제가 만만치 않아서 그렇지요. 그래서 오늘은 소주에 대해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소주는 한자로는 태워 만든 술, 증류해서 만든 술이라는 뜻입니다. 소줏고리에 쌀로 만든 밑술을 데워 한 방울씩 모아 만드는 술이 증류주의 원조이죠. 원료가 값비싼 쌀이고 워낙 만드는 데에 쌀이 많이 들어가다 보니 식량 사정이 좋지 않은 한국전쟁 이후 쌀로 술을 만드는 것을 금지했었습니다. 당시 지역별로 있던 전통주들의 명맥이 많이 사라지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보급된 술이 바로 희석식 소주입니다.
    희석식 소주의 주된 원료인 주정, 순도 95% 이상인 알코올은 쌀로 만들지 않습니다. 어떤 곡물이든 발효할 수 있으면 알코올을 뽑아낼 수 있으므로 가장 저렴한 원료로 만들게 됩니다. 그래서 카사바, 감자, 타피오카 등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해에 가장 저렴한 원료를 수입해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죠. 이 원료를 발효시킨 후 6회 이상 연속 증류하면 고순도 에탄올인 주정이 생산되게 됩니다. 여기에 물과 감미료, 각종 식품 첨가물을 넣어 만들어 낸 것이 바로 우리가 마시는 희석식 소주인 것이죠.
    들어보신 것과 같이 제조 과정에서 광고에서 말하는 깨끗하게 걸러 만들었다든지 두 번 정제했다든지 하는 의미는 없습니다. 다만 예전에는 도수가 낮으면 알코올의 비릿하고 쓴맛이 강해져 도수가 높은 술을 선호하였으나 최근에는 알코올 도수를 낮게 만든 술이 인기를 얻을 뿐입니다. 원료 대신 물을 많이 타고 판매량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으니까요.
    원액이 순도 95%의 알코올이기 때문에 여기에는 전통 증류주에서 느껴지는 밑술의 향이 없습니다. 단지 알코올의 역한 냄새만 남을 뿐이죠. 이 냄새를 순화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감미료로 과거에는 사카린을 사용한 적이 있었고 현재는 올리고당, 자일리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역한 쓴맛 뒤에 오는 단맛은 바로 이 인공 감미료의 맛이라고 할 수 있는 거죠. 



    희석식 소주가 한반도에 처음 들어온 것은 1890년대 말 조선 시대입니다. 일본에서 동아시아 최초로 주정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1899년에 희석식 소주를 개발, 조선에 들어온 희석식 소주는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증류식 소주를 대체하기 시작합니다. 1920년대에 조선 땅에는 이미 수천 개의 희석식 소주 공장이 생겨났고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전통 증류식 소주는 점차 설 자리를 잃어 가게 됩니다.
    여기에 1965년, 어려운 국내 식량 사정으로 인해 쌀로 술을 빚는 것을 금지한 양곡관리법이 생겨나면서 증류식 소주는 자취를 감추게 되고 대체재로 희석식 소주가 대중들 사이에서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1995년, 30년 만에 이 법이 풀리고 나서 안동소주 등 일부 전통 증류식 소주의 판매가 허가되긴 했지만, 예전의 다양한 전통의 명맥은 이미 상당수 사라져버린 뒤였습니다. 
    많은 사람이 희석식 소주를 즐겨 마시고 있지만, 맛으로 향으로 마시는 사람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이 술 자체가 맛과 향을 즐기기 위한 술이라기보다는 저렴한 가격으로 마시고 취하는 것이 목적인 술이 되어버렸으니까요. 그렇다 보니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이 큽니다. 빨리 취할 목적으로 많은 양을 마시게 되니 급성, 만성 알코올 간 질환의 위험이 커집니다. 간에 부담도 부담이지만 수많은 알코올 중독자들을 양산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중독자가 아니더라도 과음으로 인한 건강의 문제, 삐뚤어진 술 문화와 술 강요, 주취 폭력 문제, 음주운전 문제까지 알코올에 의한 사회적 문제는 열거하기에도 끝이 없을 정도입니다.
    맞습니다. 전통 증류주던 희석식 소주던 같은 도수의 알코올을 같은 양 마신다면 건강에 특별히 차이가 날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한국에 산재하는 수많은 술 관련 사건·사고는 대부분 만취한 자들에 의해서 발생한다는 사실, 한 번 더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또한, 이러한 술 문화 덕분에 인구 당 세계 최대 알코올 소비국이 되어버렸습니다. 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이 러시아의 두 배, 미국의 네 배에 이른다는 사실, 알고 계시는가요?
    이제는 우리도 술 문화를 바꾸어야 할 때입니다. 마약만큼이나 중독성이 높다는 알코올, 특히 희석식 소주를 그냥 이대로 두어서는 그 피해와 사회적 비용이 계속 누적될 뿐입니다. 좋은 사람과 좋은 술을 앞에 두고 천천히 음미하며 마시는 술자리, 그런 문화를 만들어야 합니다.